통계소식

10월 어획량 전갱이·고등어·꽃게 늘고, 참조기·멸치 줄었다

  • 관리자
  • 2016-12-13 00:00:00
  • 조회수:1335
다운로드 161214(조간) 10월 어획량 전갱이.고등어.꽃게 늘고, 참조기.멸치 줄었다(어업정책과).hwp

 

10월 어획량 전갱이·고등어·꽃게 늘고, 참조기·멸치 줄었다

 

2016년 10월 연근해에서 전갱이, 고등어, 꽃게 등의 어획이 증가했고 반면 참조기, 멸치, 붉은대게, 갈치의 어획은 감소하였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올해 10월 연근해 어획량을 발표하며 이와 같이 주요 어획량 증가 품목과 감소 품목을 공개하였다. 이에 따르면, 전갱이(1,921톤), 고등어(19,836톤), 꽃게(3,382톤)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하여 어획량이 각각 100.7%, 45.0%, 30.1%씩 증가하였다.

 

반면, 참조기(4,209톤), 멸치(14,595톤), 붉은대게(3,440톤)는 어획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5.5%, 52.4%, 32.9%씩 감소하였다. 또한 갈치와 오징어도 생산량이 3,678톤, 3,143톤씩 줄어 지난해보다 27.1%, 15.8%씩 감소하였다.

전갱이와 고등어의 어획이 증가한 것은 대마난류가 흘러 제주도에서 서해 중남부에 이르는 해역에 풍부한 어장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며, 두 어종을 주로 잡는 대형선망어업의 10월 조업실적은 작년보다 52% 증가했다. (작년 10,224톤 → 올해 15,524톤)


꽃게 어획량은 서해5도 어장 확대 및 조업시간 연장, 태안 반도 주변 해역의 자원량이 늘어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으며 꽃게를 주로 잡는 자망 및 통발어업의 조업실적도 작년보다 17% 증가했다. (작년 1,210톤 → 올해 1,413톤)


이에 반해, 참조기의 경우 월동장으로 남하 회유하면서 주요 어장인 서해 남부에서 제주도 주변해역으로 어군이 분산되었고, 조기를 잡는 자망어업의 조업활동이 어려워져 어획량이 감소했다.

 

또한 멸치의 경우에도 월동장으로 남하 회유하면서 주 어장인 남해도에서 제주도 주변으로 어군이 분산되어 기선권현망 어업의 조업활동이 어려워짐에 따라 어획량이 63%나 감소했다. (작년 18,780톤 → 올해 6,881톤)


그 외에, 붉은대게는 연간 총어획할당량(TAC)을 준수하기 위해 10월 조업량을 어민들이 자체적으로 조절하면서 어획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갈치는 상반기에 어린고기(미성어)를 과도하게 잡아 자원량이 감소하였고, 조업 가능한 어장도 축소되어 어획이 부진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오징어의 경우에는 적정 서식 수온(12~18℃) 해역이 동해 전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어장이 분산되어 어획량이 감소하였다.

이전글이전 11월까지 수산물 수출 19.5억 불, 작년 수출총액 웃돌아
다음글다음 해수부, 연안선박 현대화 위해 1,250억원 대출 지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