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해수부, 러시아와 극동지역 해양수산협력 본격 추진
-
부서
원양산업과
-
담당자
강원진
-
전화번호
044-200-5018
-
등록일
2017.09.08.
-
조회수
3049
-
첨부파일
해수부, 러시아와 극동지역 해양수산협력 본격 추진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 이하 해수부)는 9월 6일부터 7일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제3회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여 러시아 극동개발부(장관 알렉산드르 갈루쉬카), 수산청(청장 일리야 쉐스타코프)과 회담을 가졌다. 양측은 조업쿼터 확대, 수산물류가공 복합단지 조성 및 항만개발 투자, 북극항로 개척 등 극동러시아 지역에 대한 수산?항만?해운물류 및 극지분야 협력 방안을 중점 논의하였다.
러시아 극동지역은 면적이 약 621만㎢로서 러시아 전체 영토의 36%에 해당하며, 수산물 생산량이 러시아 전체 생산량의 65%인 311만 톤에 달하는 등 성장잠재력이 풍부하지만, 낙후된 산업기반시설 등으로 인하여 경제발전이 지체되고 있는 지역이다.
러시아 정부는 극동지역의 개발 및 경제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한 중점 개발전략의 하나로 민간투자를 통한 수산물 가공·수출 확대, 거점항만 개발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의 해양수산 기업들도 극동지역 투자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적정한 개발부지 확보, 타당성 조사 등에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해수부와 러시아 극동개발부 등은 이번 동방경제포럼을 계기로 극동지역 해양수산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중점 논의하였다.
해수부는 러시아 수산청과의 회담에서 우리 기업들의 극동지역 수산물류가공 복합단지 구축사업에 대한 투자의향과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실질적이고 빠른 사업 진전을 위한 러측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하였다. 또한, 러 수산청은 러시아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의 우리나라 원양어선에 대한 조업쿼터와 관련하여 지난 4월 제26차 한·러 어업위원회에서 이미 합의한 36,250톤에 더하여 6,000톤을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 제26차 한·러 어업위원회 합의 쿼터 및 추가 쿼터 논의
: (합의) 명태 20,500톤, 대구 4,000톤, 꽁치 7,500톤, 오징어 3,500톤, 기타 750톤)
(추가논의) 명태 3,000톤, 꽁치 3,000톤
해수부와 러시아 극동개발부 간 회담에서는 우리 기업들의 극동지역 수산물류가공 복합단지 및 주요 거점항만 개발사업투자에 대한 양 국의 지원방안, 북극항로 개발 등 북극 협력방안이 논의되었다. 해수부는 극동지역 투자를 위한 우리 해양수산 기업들의 요청사항을 전달하고 우리 정부도 사업타당성 조사 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두 부처는 북극항로 개발 및 연관 산업 활성화로 양 국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한편, 김영춘 해수부 장관은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전권대표와 함께 우리 기업들과 러시아 극동투자유치수출지원청 간 극동지역 수산물류가공 복합단지* 구축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식에 임석하여 양 국 정부의 지원의지를 표명하였다.
* ㈜한국통산, 부산항만공사, 유니코 로지스틱스, 코리안 시푸드가 공동 투자하여 블라디보스톡에 저온물류센터, 어선부두, 보세창고, 수산가공공장을 포함한 복합단지 조성 추진(총 사업비 약 1,330억원)
김영춘 해수부 장관은 “러시아는 극동지역에 자국의 미래가 달려 있다는 생각으로 극동지역의 개발과 경제발전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개발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가 해양수산 분야”라고 하면서, “이번 제3회 동방경제포럼을 계기로 그간 어업에 국한되었던 러시아 진출 분야가 수산물 가공, 항만, 해운 등 해양수산 분야 전반으로 대폭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
다음글
-
이전글